[사건의내막 / 문홍철 기자] = 정부가 미 철강·알루미늄 파생상품 수입규제 컨설팅을 중견기업까지 확대하고, 포커스 컨설팅 구간을 신설해 기업 맞춤형 지원을 강화한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무역협회는 30일 서울 삼성동 트레이드타워 51층 중회의실에서 '미 232조 관세조치, 국제비상경제권한법(IEEPA) 소송 동향 설명회'를 열었다고 밝혔다.
이번 설명회는 미국의 다양한 관세조치에 대한 정확하고 체계적인 정보를 제공해 관세 과·오납에 따른 업계 피해와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마련했다.
대미 통상 대응 경험이 풍부한 법무법인이 미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른 품목별 관세조치 부과 품목 현황, 관세율, 상호관세 중복 여부, 시행일 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 나아가 IEEPA에 근거한 미국 내 상호관세 무효 소송 진행 경과와 전망도 안내했다.
▲ 산업통상자원부 누리집 포토뉴스 화면 갈무리 ©
|
산업부는 특히, 이와 같이 급변하는 통상환경에 대비해 대한상의와 함께 '중소·중견기업 1:1 수입규제 컨설팅 사업'을 확대 개편한다고 밝혔다.
우선, 올해 신설된 미 232조 철강·알루미늄 파생상품 컨설팅의 경우 업계 수요를 고려해 수혜 대상을 중견기업까지 확대한다.
또한, 반덤핑 마진 산정 등 특정 주제에 대해 심층 분석이 필요한 기업을 위한 포커스 컨설팅 구간을 신설해 기업 맞춤형 지원을 강화한다.
더불어, 새로운 유형의 수입규제에 대해서는 업계를 대상으로 찾아가는 설명회도 진행할 계획이다.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은 "최근 품목별 관세 및 상호관세 등 미국의 복잡한 관세정책으로 대미 수출 기업의 예측가능성이 떨어지고 있다"고 밝히고 "정부는 변화하는 통상환경에 대한 정보를 신속히 공유하고, 기업이 체감할 수 있는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덧붙였다.
penfree1@hanmail.net
*아래는 위 기사를'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Expanding import regulation consulting for SMEs… Strengthening customized support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holds 'US Section 232 Tariff Measures and International Emergency Economic Powers Act (IEEPA) litigation trend briefing session'
[Inside Story / Reporter Moon Hong-chul] = The government is expanding US steel and aluminum derivatives import regulation consulting to SMEs and establishing a focus consulting section to strengthen customized support for companies.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and the Korea International Trade Association announced on the 30th that they held a 'US Section 232 Tariff Measures and International Emergency Economic Powers Act (IEEPA) litigation trend briefing session' in the medium conference room on the 51st floor of the Trade Tower in Samseong-dong, Seoul.
This briefing session was prepared to provide accurate and systematic information on various US tariff measures and minimize damage and inconvenience to the industry due to tariff overpayment and mispayment.
A law firm with extensive experience in responding to US trade issues provided a detailed explanation of the current status of tariff measures imposed on each item under Section 232 of the US Trade Expansion Act, tariff rates, whether there are any overlaps in reciprocal tariffs, and the date of enforcement, and also provided information on the progress and outlook of the US reciprocal tariff invalidation lawsuit based on IEEPA.
In particular,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announced that it will expand and reorganize the '1:1 Import Regulation Consulting Service for SMEs' in cooperation with the Korea Chamber of Commerce and Industry in preparation for this rapidly changing trade environment.
First, in the case of the US Section 232 steel and aluminum derivatives consulting service newly established this year, the beneficiaries will be expanded to include SMEs in consideration of industry demand.
In addition, a focus consulting section will be established for companies that require in-depth analysis on specific topics such as calculating anti-dumping margins, thereby strengthening customized support for companies.
In addition, it plans to hold on-site briefing sessions for the industry regarding new types of import regulations.
Yeo Han-gu, head of the trade negotiation headquarters, said, "Recently, due to the complex tariff policies of the U.S., including tariffs by product and reciprocal tariffs, the predictability of companies exporting to the U.S. is decreasing," adding, "The government will quickly share information on the changing trade environment and spare no effort in providing support that companies can feel."
penfree1@hanmail.net
 |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